반응형
추석 연휴 동안 많은 병·의원이 휴진하기 때문에 응급 상황 시 어디에서 진료를 받을 수 있는지가 가장 큰 관심사입니다.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올해 추석 연휴에도 전국 8,800여 곳의 병의원과 약국이 문을 열어 응급·당번 진료를 제공합니다. 이를 기반으로 응급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정리한 가이드입니다.
전국 응급실 및 병의원 바로가기
추석 연휴 응급 진료 병·의원 현황
- 전국 8,800개 응급 진료 병·의원 및 약국 운영
- 지역별 당번 병·의원은 보건복지부, 시·도청, 시·군·구청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
- 119 구급상황관리센터에 전화를 하면 가장 가까운 응급실·약국을 안내받을 수 있음
소아 환자(12세 이하) 진료
- 추석 연휴 동안 소아과 진료 공백이 우려되는 만큼, 보건복지부는 어린이 진료 가능한 병·의원 명단을 별도로 제공
- 대부분의 소아 응급 상황은 어린이 전문 응급실 및 지정 병원에서 24시간 대응 가능
24시간 아이 안심 의료 서비스
- 아이 안심 24시간 진료 체계 구축
- 야간에도 상담 또는 진료 가능한 의료기관 검색 가능
- 보호자는 아이 증상에 따라 즉시 응급실을 방문하거나 129 콜센터로 연결 가능
가정에서 기억해야 할 응급 처치법
- 고열: 미온수 마사지를 해주고 해열제를 복용
- 경미한 출혈: 물로 깨끗이 씻은 후 압박 지혈
- 화상: 흐르는 찬물에 최소 10분간 식혀주고 연고 바르지 않기
- 기도 폐쇄: 기침 유도 후 심하면 하임리히법 시행
연휴 대비 필수 상비약
- 해열제, 소화제, 지사제
- 반창고, 소독약, 밴드류
- 개인 복용 만성질환 약품(고혈압·당뇨 등) 미리 준비
주요 긴급 전화번호
- 보건복지부 콜센터 129: 응급·당번 병·의원 안내
- 지방자치단체 콜센터 120: 지역 의료기관 운영 현황 확인
- 119 구급상황관리센터: 인근 응급실, 약국, 병원 안내 및 구급 출동
응급 의료 정보 확인 방법
- 응급의료포털 E-gen: [e-gen.or.kr]에서 지역별 병·의원, 약국 실시간 검색 가능
- 응급 똑똑 앱: 스마트폰에서 위치기반 응급실, 병원, 약국 안내 제공
- 네이버·카카오 지도 연동으로 당번 병원 및 약국 확인 가능
마무리
추석 연휴 동안 갑작스러운 병원 공백으로 불안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. 하지만 8,800여 곳의 응급 진료 병·의원과 약국이 운영되며, 응급의료포털과 129 콜센터를 통해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. 특히 소아 환자의 안전과 상비약 준비, 응급 처치 기본 지식만 갖춘다면 연휴 동안 응급 상황에도 잘 대응할 수 있습니다.
반응형